블로그 이미지
有然(유연)
God-Realization 신-깨달음의 영적 여정....... 삶의 목적은 우주적인 자아와 동일시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무한한 지복, 파워, 지식 (전지, 전능, 지복)을 경험하는 것입니다. - 아바타 메허 바바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Tag

Category

Recent Post

Recent Comment

Archive


"수행은 필요 없고, 경전공부만 해도 성불" <자현스님>
 
화엄종의 3조 현수법장 스님의 사상에서 가장 중요한 것
- 교상즉관법(敎相卽觀法), 신만성불론(信滿成佛論)
 
<1>교상즉관법(敎相卽觀法)
화엄종은 따로 수행이 필요 없고, 화엄사상의 논리구조를 정확히 이해하면
그것이 곧 수행이라고 함
경전공부를 따로, 수행을 따로 하고가 아니라, 경전공부가 어느 정도
투철하게 되면 그것이 곧 수행.
그 원리를 철저하게 이해하면 다시는 미혹하지 않아,
따로 수행 필요 없어, 공부 자체가 수행
인도불교식으로 말하면 성문승(聲聞僧 부처님의 가르침을 많이 들어서
그 원리를 이해하면 깨달음)
 
예) 곱하기 나누기가 처음엔 어렵지만 반복학습으로 그 원리가 확실하게 이해되면 죽을 때까지 가져간다.
"이러한 사상은 매우 타당하다고 생각됨". 공부로 어떤 개념이 딱 서면 결코 흔들리지 않아,
영화, 연극, 수학.. 어떤 분야든 그 원리를 딱 터득하면 그것에 관한한 절대로 미혹되지 않아
 
화엄종은 천태종의 영향을 받았고, 화엄종은 다시 선종에 영향을 주었는데,
선종의 공격에 대한 반론
 
"말로만 갖고는 안된다" -
말을 분명하게 하지 못하는 것은 제대로 알지 못해서 그런 것
"진리는 언어를 초월해 있고.." -
초월해 있다는 그 말 자체도 이미 언어다, 무슨 헛소리!
"진리는 생각할 수 없고.." -
생각할 수 없다는 것도 생각. 정말 생각할 수 없으면 그런 말도 할 수 없어
"알기는 아는데 이것은 어떻게 언설로 설명할 수 없는 것" -
그건 불완전하게 알기 때문이다
(불완전하게 알면 전문용어로만 유창,
그러나 분명하게 이해한 사람은 상대방 수준에 맞는 대기설법이 가능)
 
그런데 그 원리가 너무 어려워서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사람은 어떻게 하나?
이해를 못 해도 믿음만 확고하면 그 자체로 성불 -
<2>신만성불론(信滿成佛論)
 
사실 극락도 믿음으로 가는 것이고,
화엄경 현수품에 신위도원공덕모(信爲道元功德母)
"믿음은 도(道)의 근원(으뜸)이며 모든 공덕의 어머니"라는 말이 나온다.
 
초발심시변정각(初發心時便正覺)도 믿음을 강조하는 말
(확고부동한 믿음을 가지면 그 자체로 성불)
이러한 개념은 성기설(性起說) 때문에 가능 -
이미 우리는 완성된 존재. 이것을 믿기만 하면 성불
(불교에서 대표적 믿음은 극락신앙, 아미타불에 대한 믿음, 그 서원에 편승하기 위해서 믿는 것인데
화엄종에서 말하는 믿음은 '나는 본래 붓다'라는 믿음)
 
- 이렇게 투트랙으로 가는데 유가 법상종에서는 믿음으로 된다는 것보다
공부로 된다는 부분이 더 강력해서 신만성불론(信滿成佛論)에 대해서 비판적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초발심시변정각 말씀을 비방하다가 지옥 갔다는 순경나락가설이 생겨남)
 
- 이러한 사상은 나중에 돈오(頓悟)로 넘어가는 중요 분기점이기도 하다
철저하게 알면 돈오, 안 되면 일단 믿음부터 갖으면 됨.

posted by 有然(유연)

posted by 有然(유연)

https://youtu.be/yWw59lwXbr8


부처님과 보살  총정리 - 자현스님

posted by 有然(유연)
2021. 11. 27. 13:34 한국의 스승들/자현 스님


‘융합 학문’으로 중생들에게 다가가는 불교문화 전령사
이규대 기자 ()
승인 2012.07.29 22:41

자현 스님은 월정사 교무국장, 부산포교원 원장 등 조계종단에서 활발히 활동하는 승려이다. 그러나 종교인이라는 정체성만으로는 스님을 충분히 설명할 수 없다. 다른 무엇보다도, 그는 학자이다. 젊은 나이임에도 여러 학문의 경계를 넘나들며 자신만의 영역을 개척해나가고 있다. 이뿐만이 아니다. 일반 대중이 불교문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문화 전령사로도 활동하고 있다.
스님의 배움은 10대 중반부터 시작되었다. 스님은 머리가 굵어지면서부터 인생에 대해 깊이 고민했다. 가슴속에 떠오르는 철학적 질문들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해 동양의 고전을 찾았다. 많은 책을 읽었다. 그 어떤 목적의식도 없었다. 당시 스님에게는 앎 자체가 삶의 유희이자 목적이었다. 그 결과 20대 초반에는 <대장경>을 비롯한 주요 불교 경전, 유가 및 도가 등을 포함한 제자백가의 고전들을 대부분 독파할 수 있었다.

스님은 남다른 독서 경험을 통해 탄탄한 지적 근육을 갖게 되었다. 이것이 이후의 학문적 탐구에 주춧돌이 되었다. 동국대, 성균관대, 고려대 등을 오가며 철학, 동양철학, 불교학, 미술사학 등을 다채롭게 공부했다. 학제 간의 경계가 흐려지는 융합 학문 시대를 일찍부터 살아온 셈이다. 지금까지 70여 편의 논문 및 10여 권의 저서를 내는 등 왕성하게 활동했다.



스님은 불교문화를 일반 대중에게 친숙하게 설명하려는 노력도 한다. 종교의 역할에 대한 성찰 때문이었다. 이에 대해 스님은 “절을 찾는 많은 분들을 보면서 자책감이 들었다. 가치관의 혼란을 겪는 현대인들이 의지할 만한 곳이 종교가 될 수 있을지 확신할 수 없었다”라고 설명했다. 스님은 불교문화에 주목했다. 종교가 일반 대중의 행복에 기여해야 한다면, 바로 문화가 지름길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스님은 많은 사람이 이해할 수 있도록 대중적인 책을 내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최근 발간된 저서 <사찰의 상징 세계>는 이런 고민의 결과물이다. 절은 왜 산에 많은지, 왜 대웅전에는 석가모니를 모시는지 등 일반 대중들이 사찰에 대해 궁금할 법한 질문 100개를 선정해 대답하는 형식을 취했다. 자현 스님은 “불교문화를 종교적 시각만으로 보아서는 전체를 이해할 수 없다. 유교나 도가, 무속 등이 복합적으로 섞여 있는, 한국 문화의 복합체인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라고 설명했다.  

posted by 有然(유연)
2021. 11. 27. 13:26 한국의 스승들/자현 스님

자현 스님

동국대경주캠퍼스 철학전공 졸업

자현 스님은 중앙승가대 교수이자 불교 역사와 문화를 다양한 책으로 전하며 불교 대중화에 앞장서고 계십니다.
불교계는 물론 국내 최다 박사학위의 명예를 보유한 스님이시기도 합니다!
자현 스님은 우리 대학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국대학교 불교학과와 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후,
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과(율장)와 동국대학교 미술사학과(건축),
고려대학교 철학과(선불교)와 동국대학교 역사교육과(한국고대사),
동국대학교 국어교육과(교육학) 등 다섯 곳에서 각각 박사학위를 취득하셨습니다.


스님은 ‘논문의 신’ ‘논문 제조기’로 불립니다.
인문학자 가운데 1년에 가장 많이 학술진흥재단 등재 논문을 쓰셨습니다.
그동안 학술지에 등재한 논문만 160편, 그리고 저술한 책도 50여 권입니다.
스님이 쓴 50여 권의 책 중『불교미술사상사론』은 2012년 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사찰의 상징세계(상·하)』는 2012년 문광부 우수교양도서,
『붓다순례』(2014년)와 『스님의 비밀』(2016년), 『불화의 비밀』(2017년),
『스님, 기도는 어떻게 하는 건가요』(2019년)은 각각 세종도서에 선정되었습니다.
또 『백곡 처능, 조선불교 철폐에 맞서다』는 2019년 불교출판문화상 붓다북학술상을 수상했으며,
제7회 영축문화대상(2019)과 제1회 한암상(2020)을 수여하기도 했습니다.


현재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부에서 교수와 불교학연구원장으로 재직 중이시며,
월정사 교무국장과 조계종 교육아사리 그리고 《불교신문》 논설위원과
한국불교학회 법인이사 및 문수청소년회 법인이사와 상하이 푸단대학교 객원교수 등을 맡고 계십니다.

자현 스님은 메일 인터뷰를 통해 “4차 산업과 5G 시대의 개막에 맞춰 가장 필요한 것은 창의력과 독창적인 콘텐츠이다.
기계와 인공지능이 대체할 수 없는 미학적 판단, 그것이 동양의 정신문화 속에 온축되어 있다.”라고 전하셨습니다.

또한, 후배 동국인들에게 “미래는 기술과 기능의 시대가 아니라 감각과 미학의 시대임을 자각해서, 멋지고 드높은 비상을 이루시길 부처님께 기원드립니다.” 라고 격려하셨습니다.

학생홍보대사 동행 13기, 김소영 (영어영문학전공)

posted by 有然(유연)
prev 1 next